여러분 주식에도 사계절이 있다는 거 아시나요? 아마 들어보신 분도 계실 것이고 아닌 분도 계실 겁니다. 처음 들어보시는 분들은 아니 무슨 주식에서 사계절을 얘기하냐?라고 말씀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말씀드리는 사계절은 미국 주식시장에만 해당되는 내용이고 한국 및 신흥국 기타 시장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지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부터 이번 코로나 팬데믹으로 인한 폭락 그리고 현재까지 약 12년간의 주식시장을 예로 들면서 주식시장의 4계절에 대해서 예시를 들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겨울 겨울은 봄이 오기 위해서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계절입니다. 미국은 2008년 리먼브라더스 사태가 터지면서 글로벌 금융위기를 발생시킨 장본인이었습니다. 당시 미국의 기준금리는 5%였습니다. 중국이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최근에 SNS나 유튜브 그리고 언론까지 이제 대세하락의 시작이 다부터 시작해서 헝다그룹 사태가 리먼브라더스 급이 될 것이다 중국에 부동산 회사가 얼마나 많은지 아느냐? 그게 터지면 어떻게 될 거 같냐? 또 스태그플레이션이 올 것이다 미국 부채한도 증액 안되면 디폴트 나고 20% 이상의 하락장의 시작이다 등등 온갖 공포감을 조성하면서 투자자들을 불안하게 하고 있습니다. 불안감을 조성해야 돈이 될 겁니다. 그래서 오늘은 왜 9월, 10월에는 조정이 오는지와 현재의 상황 그리고 앞으로는 어떠한 주식을 들고 가야 수익이 날 수 있는지 아주 상식적인 선에서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Seasonality 조정은 왜? 미국 주식시장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9, 10월은 조정의 달이고 역사적으로 성과가 좋지 않으니 피해 ..
오늘은 TIGER 글로벌 BBIG 액티브 ETF에 대해서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이 ETF에 대해서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ETF 속의 ETF 투자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자세한 건 아래에서 설명을 드리고, BBIG란 Biotech, Battery, Internet, Game의 앞 이니셜을 따서 만든 단어입니다. 즉 최근에 가장 유망한 섹터들을 모아서 투자한다는 의미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그럼 더 자세히 TIGER 글로벌 BBIG 액티브 ETF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TF 개요 TIGER 글로벌 BBIG 액티브 ETF는 나스닥 100 Index를 기초지수로 하는 ETF입니다. 앞에서 말씀드린 대로 ETF속에 ETF라고 말씀드렸는데 그 이유는 구성종목을 보면 보통의 ETF는 개별종목들을 10..
오늘은 국내 상장 해외 ETF에 대해서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보편적으로 국내 상장 해외 ETF의 경우 연금계좌에서 많이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절세 혜택 때문입니다. 그리고 국내 상상 해외 ETF을 연금계좌로 투자해야 되는 이유는 또 있습니다. 아래에서 더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기 투자에 적합 국내 상장 해외 ETF 중에서 특히 미국 ETF의 경우 장기로 투자하기에 매우 적합합니다. 그 이유는 미국 증시는 장기 시계열로 놓고 보면 우상향 하기 때문입니다. 세계적인 기업들이 끓임 없이 나오고 있고, 파괴적 혁신기업들이 계속 나오는 미국 주식시장은 전 세계의 투자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마켓입니다. 시가총액 상위 기업들이 대부분 IT 기업으로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가는 기업들이 대거 포진되어..
최근에 오징어 게임이라는 넷플릭스 드라마가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저도 이 드라마를 추석 명절에 모두 시청했습니다. 오징어 게임을 보면서 든 생각은 9편의 드라마에 인간의 탐욕과 공포 그리고 자본주의와 주식투자에 대한 내용이 많이 담겨 있어서 보면서도 크게 느낀 점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오징어 게임이라는 드라마를 통해 필자가 느낀 자본주의와 주식투자에 대해서 이야기해 보고자 합니다. 자본가는 최상위 포식자 글을 쓰기에 앞서 아직 오징어 게임을 보지 않은 분들 중에 혹시 볼 계획이 있으시면 드라마를 다 보시고 글을 보시면 좋겠습니다. 아무래도 글을 쓰다 보면 스포가 될 수 있는 부분이 있을 거 같기 때문입니다. 오징어 게임을 보신 여러분들께서는 과연 이 드라마의 주인공이 누구라고 생각하십니까..
날씨를 통한 주식매수 아이디어. 오늘은 탄소배출권 ETF에 대해서 얘기해보고자 합니다. 최근에 하늘을 보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작년 이맘때보다 훨씬 청명하고 푸른 하늘을 만날 수 있는데요 그 이유가 있습니다. 바로 중국에서 호주산 석탄 반입금지로 인해서 석탄 발전이 크게 줄면서 공기의 질이 좋아진 것입니다. 중국의 이러한 스탠스는 호주와의 외교적인 문제도 있지만 공산당의 친환경 드라이브 정책이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그럼 탄소배출권이 무엇이고 어떻게 투자를 해야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탄소배출권이란? 배출할 수 있는 온실가스의 총량을 사고팔 수 있는 권리를 탄소배출권이라고 합니다. 지구의 온난화가 지속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총량을 국가와 기업단위로 정해놓았습니다..
"금융계의 테슬라가 될까?" 제목부터가 굉장히 자극적입니다. 블로그에 글을 포스팅한 이래로 한 번도 개별주식에 대한 얘기는 한 적이 없습니다. 물론 테슬라에 대해서는 언급한 적이 있습니다. 오늘 얘기하고자 하는 회사는 업스타트 홀딩스 (Upstart Holdings)로 미국의 AI 핀테크 회사입니다. 정말 많은 핀테크 회사들이 있고 AI 관련 회사들이 있는데 왜 굳이 이 회사가 금융계의 테슬라가 될 가능성이 높은지 오늘 한 번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Upstart Holdings는 어떤 회사? ■ 회사 소개 업스타트는 구글의 전직 직원이었던 Dave Girouard와 예일대를 중퇴하고 피터틸의 Thiel Fellowship under 20 프로젝트의 일원인 Paul Gu가 함께 설립한 회사입니다. 업스타..
잠들어 있는 돈을 깨워야 노후가 편안해집니다. 그러려면 지금 당장 퇴직연금을 DC형으로 바꿔야 합니다. 하지만 한국사회에 뿌리 깊게 박혀있는 주식은 도박이고 퇴직금은 반드시 원금이 보장되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쉽게 DC형으로 바꾸지 못하게 하는 이유 중에 하나입니다. 오늘은 왜 퇴직연금 DC형으로 바꿔야 하는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퇴직연금이란? 퇴직연금은 사용자 즉 회사가 근로자의 퇴직금을 계약을 맺은 외부 기관에 적립하고, 회사나 근로자의 지시에 따라서 퇴직금을 운용하여 근로자의 퇴직 시 퇴직금을 일시금 내지 연금형태로 지급하는 것을 퇴직연금이라고 합니다. 퇴직연금의 종류에는 확정급여형(DB형), 확정기여형(DC형) 두 가지 종류가 있으며, 최초 Default는 확정급여형이며 근로자의 선택..
9월 FOMC가 무난히(?) 끝났습니다. 무사히 끝났다는 것은 주식시장의 큰 요동이 없이 조용히 넘어갔다는 뜻입니다. 오늘은 새벽에 끝난 FOMC 결과를 정리하고 향후 테이퍼링과 금리인상은 어떻게 진행될지에 대한 예상을 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겠습니다. 테이퍼링 FOMC에서 가장 중요하게 투자자들이 관심을 가졌던 것이 바로 테이퍼링입니다. 그래서 연준에서 과연 테이퍼링에 대해서 어떻게 얘기하느냐에 따라서 하락으로 방향을 틀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무난하게 끝난 이유는 파월 의장이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서 두루뭉술하게 얘기를 했습니다. 비둘기적인 얘기도 있었고 매파적인 얘기도 있었습니다. 그래서 증시가 충격받지 않았습니다. 그럼 아래에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테이퍼링 시작 시기 당초 ..
오늘은 미국 주식에 투자해야 되는 이유 환율 편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미국 주식은 달러로만 매수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강제적으로 달러에 투자하게 됩니다. 일종의 화폐의 자산배분도 미국 주식 투자를 통해서 구현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달러로 미국 주식에 투자하면 이점이 있는데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원달러 환율은 장기적 우상향 원달러 환율은 장기적인 시계열로 놓고 보게 되면 우상향 하게 됩니다. 그 이유는 우선 한국은 수출주도의 경제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축통화이자 국제결재통화인 달러 대비해서 어느 정도 약세를 유지해야 수출기업에 유리하게 되어 있습니다. 신흥국 즉 비기축통화국의 통화는 선진국 통화에 비해 역사적으로 계속 절하가 유지가 됩니다. 이 같은 이유는 전 세계적인 저성..
9월 FOMC가 21-22일에 열리게 됩니다. 이번 FOMC에서는 앞으로 남은 2021년의 주식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항들이 복합적으로 얘기가 나올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9월 FOMC에서 주목해야 될 사항들에 대해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테이퍼링 시점 언급 이번 FOMC에서 가장 주목되는 것은 바로 미연준이 테이퍼링 시작 시점을 공식적으로 언급하느냐 하지 않느냐입니다. 시장의 컨센서스는 빠르면 11월 늦어도 12월 즉 올해 안에 테이퍼링을 시작한다고 가정하고 있습니다. 변수는 지난 8월 고용보고서가 생각보다 좋게 나오지 않아서인데, 연준 위원들이 인터뷰를 하는 것을 보면 8월은 일시적인 것이고 좋아지는 추세가 계속될 것이고 평균으로 보면 상당히 좋기 때문에 테이퍼링을 할 조..
오늘은 Fear & Greed Index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주식시장은 불확실성을 가장 싫어합니다. 주가에 부정적인 이슈라고 하더라도 그것이 확정되면 차라리 반영할 것은 반영하고 넘어가기 때문에 주식시장에는 오히려 더 낫습니다. 올해 9월은 불확실성이 상당히 많습니다. 크게 보면 미연준의 테이퍼링 금년 내 실시 여부, 미국 부채한도 연장 이슈, 3.5조 달러 인프라 법안 통과 여부, 스태그 플레이션에 대한 우려 등이 있습니다. 이렇게 불확실성이 많은 시기에는 변동성이 커지게 되고 투자자들의 하락에 대한 공포심리가 커집니다. 하지만 실제 우리가 공포를 느끼는 것보다 주가는 그렇게 많이 떨어지지 않았습니다. 고작 3% 이내의 하락했습니다. 그렇지만 투심은 그리 좋은 편은 아닙니다. 제가 가끔 참고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