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KODEX 미국반도체MV ETF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퇴직연금이나 개인연금 계좌에서 투자할 수 있는 반도체 관련 국내 상장 해외 ETF는 2가지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ETF이고 나머지가 KODEX 미국반도체 MV ETF입니다. 반도체에 투자해야 되는 이유 반도체 투자에 대해서는 지난번 반도체 펀드를 소개할 때도 강조드렸듯이 20세기가 석유의 시대였다면, 21세기는 반도체 시대라고 볼 수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데이터입니다. 차후에 데이터에 대한 중요성을 다루는 포스팅을 쓸 예정이지만, 이 데이터를 만들어내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이 바로 반도체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도체 섹터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꼭 투자 ..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지난달에 중앙 재경위에서 공동부유라는 새로운 정책기조를 내놓았습니다. 그러고 나서 발생되는 중국의 여러 사건들이 현재 한국에서 진행되는 일련의 사건들과 비슷하게 진행되는 거 같았습니다. 중국의 공동부유를 따라가고 있는 한국 과연 어떤 점이 비슷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장기집권이 목표 ■ 중국의 현재 중국의 시진핑 주석은 곧 지난 10년간의 주석 임기를 마치게 되고 새로운 10년 아니 영구집권을 위해서 중국의 여러 가지 정책을 바꾸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의 큰 사회문제 중에 하나는 빈부격차입니다. 공산주의가 모든 인민들이 평등하게 잘 먹고 잘살자가 모토인데 실제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중국의 지니계수(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 심화)는 0.5가 넘어가는 수준이 되면서 폭동이 일어나지..
오늘은 Tiger 미국달러단기채권액티브 ETF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퇴직연금을 증권사 계좌로 ETF로 매수해서 운용하고 계신 투자자분들은 주식 70%와 안전자산 30%의 비중을 유지해야 합니다. 이것은 퇴직연금법에 규정되어 있는 사항으로 변동성이 큰 주식 ETF의 투자비율을 전체 계좌의 70%로 한도를 정해놓은 것입니다. 좀 안타까운 규제이기는 합니다. 연령대가 어린 투자자분들은 어차피 주식으로 100%로 투자하는 것이 수익률에는 훨씬 더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소개의 이유 안전자산 30%는 무엇으로 채워야 할지 고민이 되는 분들이 많을 것입니다. 우리의 상식에서 안전자산하면 채권이고 그 중에서도 미국 정부 채권이 가장 안전한 채권 자산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에 출시된 미국 국채 ETF들은..
오늘은 미국 주식에 투자해야 되는 이유 중 하나를 얘기하고자 합니다. 미 연준 위원들과 미국 정치인들의 행동을 보면 왜 우리가 미국 주식에 투자해야 되는지 알 수가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부동산 투자를 해야 되고 미국에는 주식투자를 해야 됩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Fed의 존재 이유 Fed는 Federal Reserve Bank (연방준비은행)를 앞 세 글자로 축약해서 부를 때 사용합니다. 그럼 Fed의 존재 이유는 무엇일까요? 첫 번째 미국의 통화정책을 정합니다. 이것은 주식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다 아는 내용일 것입니다. 통화정책이란 달러를 발행하고 미국의 기준금리를 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두 번째 미국의 물가와 고용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최근에 연준이 테..
오늘은 주식 이야기보다 최근에 한국 사회에 큰 화두가 되고 있는 가계부채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왜 정부에서는 가계부채를 관리한다고 할까요? 한 번 진지하게 생각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그리고 진짜 가계부채가 국가경제에 큰 영향을 줄만큼 심각한 상황일까요? 그럼 그 진실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과거와의 비교 우리나라의 부동산 가격이 지금과 같이 폭등했던 시기는 참여정부 때 (2003~2008)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실질적으로 그때도 부동산으로 인한 가계부채의 폭등으로 국가경제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했을 것입니다. 그럼 그 당시의 부채와 기준금리 그리고 현재의 부채와 기준금리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기준금리 가계부채총액 이자부담금액 국민소득 참여정부 (2008.1) 5.0% 640조원 3..
오늘은 유리필라델피아반도체인덱스증권자투자신탁 펀드를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그대로 벤치마킹하는 국내 유일의 펀드입니다. 그래서 TIGER 미국필라델피아반도체나스닥 ETF를 매수할 수 없는 경우 대안으로 가장 적합한 상품입니다. 일반적으로 연금에 투자할 때 펀드보다는 ETF가 수수료 면에서 훨씬 유리하다는 것은 지난 포스팅을 통해서 말씀드렸습니다. 회사에 따라서 퇴직연금 DC형 운용회사가 증권사가 아닌 은행 밖에 없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 어쩔 수 없이 ETF를 매수하지 못하고 펀드를 매수해야 합니다. 그래서 찾아보았습니다. 펀드매니저가 개입하지 않고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를 그대로 벤치마킹하는 펀드가 있었는데 그게 바로 유리필라델피아반도체인덱스증권자투자신탁이었습니다. 반도..
오늘은 펀드 매수 전 펀드 이름을 이해하는 것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펀드이름과 알파벳의 의미만 제대로 알고 있어도 펀드의 50% 이상을 이해했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따라서 오늘 포스팅을 잘 기억하셔서 퇴직연금 사업자가 은행인 근로자분들이 펀드를 잘 선택하시기를 바라겠습니다. 펀드에 대해서 처음으로 포스팅하게 된 이유는 퇴직연금 DC형으로 운용하고자 하는 근로자분들 중에서 회사에서 지정한 퇴직연금 사업자가 은행으로 선정이 되어 있으면 ETF 매수를 할 수가 없습니다. 그 이유는 은행이 수수료 장사를 해야 되는데 ETF를 근로자가 직접 매수해서 운용하게 되면 수수료를 받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불가피하게 회사의 퇴직연금 사업자가 은행이신 분들을 위해서 펀드에 대해서 설명드릴까 합니다.펀드 이름을 ..
테이퍼링은 아직도 멀었다는 것을 지난 금요일 미국 8월 비농업 고용지표를 보고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 컨센서스는 약 70만 명 정도의 일자리가 늘어날 것이라고 했으나 실제는 23만 명 나왔습니다. 정말 고용쇼크가 일어났습니다. 그래서 시장은 아직 유동성 파티가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확인하고 금요일 나스닥은 상승으로 마감했습니다. GDP와 고용의 관계 코로나 팬데믹이 발생한 이후로 미국의 GDP와 고용은 거의 절벽처럼 떨어졌습니다. 물론 주가도 절벽처럼 떨어졌습니다. 여기서 한 가지 재미있는 사실을 한 통계를 보면 알 수가 있습니다. 폭락했던 GDP와 주가는 팬데믹 이전을 이미 뚫고 지속 상승 중이지만 고용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입니다. 아래의 차트를 한 번 보시죠. 차트를 보시니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